[KTX이음] 세계문화유산&영주 한우먹방 기차여행 (당일)

  • 대인
    145,000원~
  • 소인
    139,000원~
상품정보
·여행기간 당일
·출발날짜 매일
·포함내역 왕복 KTX 이음 열차비, 연계차량비, 입장료, 중식, 석식(한우), 안내비
·불포함내역 기타 개인경비, 여행자보험 등
·적립포인트 2,000 point (예약 1건당 1회 적립)
·최소출발인원 15명
  • 카톡공유
  • 일정표인쇄
  • URL복사
  • 일정표인쇄하기

    닫기
    [KTX이음] 세계문화유산&영주 한우먹방 기차여행 (당일)
    1일차
    일정표
    서울 08:30

    출발 20분전 서울역 3층 인생네컷 부스 옆 미팅장소 해밀여행사 피켓 미팅

      08:57

    서울역 출발

    - 09:18 청량리역 출발

      10:55

    풍기역 도착

    

    11:10

    연계차량 탑승 후 부석사로 이동

    부산 11:50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 한국의 산사! 영주 부석사 관람


     - 2018년 6월 30일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등재

     - 의상대사와 선묘낭자의 전설이 서린 천년 고찰 부석사

     - 우리나라 최고의 목조건물 불리워지는 부석사 무량수전 관람




    부석사[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 해동 화엄종의 종조인 의상대사가 왕명으로 창건한 화엄종의 수사찰이다. 대사가 당(唐) 나라에 유학하고 있을 때 당 고종의 신라 침략 소식을 듣고 이를 왕에게 알리고, 그가 닦은 화엄의 도리로 국론을 통일하여 내외의 시련을 극복하게 하고자 귀국하여 이 절을 창건하였으며 우리나라 화엄사상의 발원지가 되었다. 부석사라 이름하게 됨은 불전 서쪽에 큰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는 아래의 바위와 서로 붙지 않고 떠 있어 뜬돌이라 한 데서 연유하였다 한다. 고려 시대에는 선달사(善達寺) 혹은 흥교사(興敎寺)라 불렸다. 1916년 해체보수 시 발견된 묵서명에 의하면 고려 초기에 무량수전 등을 중창하였으나 공민왕 7년 (1358) 적의 병화를 당하여 우왕 2년(1376) 무량수전이 재건되고, 우왕 3년 (1377) 조사당이 재건되었다.


    경내에는 통일신라시대 유물인 무량수전 앞 석등, 석조여래 좌상, 삼층석탑, 당간지주, 석조 기단 등이 있고, 고려 시대 유물인 무량수전, 조사당, 소조 여래 좌상, 조사당 벽화, 고려 각판, 원융국사비 등이 있다. 특히 무량수전은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목조 건물 중 하나이며, 조사당 벽화는 목조건물에 그려진 벽화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현재 유물관 안에 보관되어 있다. 무량수전 안에 봉안된 여래 좌상은 국내에 전래하는 최고의 소상(塑像)이다. 무량수전 서쪽에 있는 우물은 의상대사의 호법룡(護法龍)이 살았다는 우물이라 전한다.






    13:00

    중식제공 (간고등어 정식+제육볶음)

    13:50

    소수서원 & 선비촌 이동

    14:10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 한국의 서원! 소수서원&선비촌 관람


     - 2019년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조선시대 교육기관 서원

     -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으로 1543년에 완공 됨.

     - 조선 최초의 사액서원 사적 제 55호로 지정




    소수서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백두대간의 정기를 머금은 소백산자락 영귀봉(靈龜峰)아래 위치한 소수서원(紹修書院)은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서원으로 주세붕(周世鵬)이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창건한 데서 비롯되었다. 평소 고려말 유현(儒賢)인 안향(安珦)을 흠모하던 주세붕이 풍기 군수로 부임한 이듬해인 1542년(중종 37), 안향선생의 고향에 사묘를 세워 선생의 위패를 봉안하고 다음 해 1543년에는 학사를 건립하여 사원(祠院)의 체제를 갖춘 것이 백운동서원의 시초이다.






    15:40

    무섬마을 이동

    16:20

    옛 고택과 백사장이 아름다운 무섬마을 관람


    영주 무섬마을

    무섬마을은 물 위에 떠 있는 섬을 뜻하는 [물수리]의 우리말 이름을 가진 전통마을이다. 때로는 중국 섬계 지역의 지형과 비슷하다 하여 [섬계마을]이라고도 불린다. 40여 가구의 전통가옥이 마을을 이루고 있는데 이 중 30여 채가 조선 후기 사대부가 가옥이며, 역사가 100여 년이 넘는 가옥도 16채나 남아있어 조상들의 자취를 그대로 느낄 수 있다. 그리고 30여 년 전까지 마을과 외부를 이어주는 유일한 통로였던 외나무다리가 마을의 대표 상징물이다.

    무섬마을에는 무섬외나무다리 축제, 무섬 문화재 등의 축제와 행사가 있고, 전통한옥체험과 무섬 문화촌 전통문화체험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전통한옥체험에서는 김욱 가옥, 김천한 가옥, 김태길 가옥 등을 체험해 볼 수 있는데 감상뿐만 아니라 직접 숙박체험을 하며 한옥의 정취를 느낄 수 있다. 또한 무섬 문화촌에서는 도자기, 염색체험, 사군자 체험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17:40

    영주 석식지 이동

    18:00

    석식제공 (전국 최고의 맛 영주 한우)


    * 1인 200g 최고급 영주한우 제공

    18:52

    영주역 출발


    [토요일~일요일 출발 - KTX이음 782열차]


    - 19:17 영주역 출발 → 20:56 청량리역 도착

    21:10

    청량리역도착 

    *서울역 하차 불가

출발일선택 & 예약하기  
  • 출발확정
  • 예약가능
  • 예약마감

달력에서 원하시는 날짜를 클릭한 후 아래 선택항목을 선택하시고 "여행예약하기"
버튼을 눌러나오는 페이지 안내에 따라 예약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옵션선택
출발일 달력에서 선택해주세요.
여행인원
0
총 예상결제금액 : 0
1일차
일정표
서울 08:30

출발 20분전 서울역 3층 인생네컷 부스 옆 미팅장소 해밀여행사 피켓 미팅

  08:57

서울역 출발

- 09:18 청량리역 출발

  10:55

풍기역 도착



11:10

연계차량 탑승 후 부석사로 이동

부산 11:50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 한국의 산사! 영주 부석사 관람


 - 2018년 6월 30일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등재

 - 의상대사와 선묘낭자의 전설이 서린 천년 고찰 부석사

 - 우리나라 최고의 목조건물 불리워지는 부석사 무량수전 관람




부석사[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 해동 화엄종의 종조인 의상대사가 왕명으로 창건한 화엄종의 수사찰이다. 대사가 당(唐) 나라에 유학하고 있을 때 당 고종의 신라 침략 소식을 듣고 이를 왕에게 알리고, 그가 닦은 화엄의 도리로 국론을 통일하여 내외의 시련을 극복하게 하고자 귀국하여 이 절을 창건하였으며 우리나라 화엄사상의 발원지가 되었다. 부석사라 이름하게 됨은 불전 서쪽에 큰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는 아래의 바위와 서로 붙지 않고 떠 있어 뜬돌이라 한 데서 연유하였다 한다. 고려 시대에는 선달사(善達寺) 혹은 흥교사(興敎寺)라 불렸다. 1916년 해체보수 시 발견된 묵서명에 의하면 고려 초기에 무량수전 등을 중창하였으나 공민왕 7년 (1358) 적의 병화를 당하여 우왕 2년(1376) 무량수전이 재건되고, 우왕 3년 (1377) 조사당이 재건되었다.


경내에는 통일신라시대 유물인 무량수전 앞 석등, 석조여래 좌상, 삼층석탑, 당간지주, 석조 기단 등이 있고, 고려 시대 유물인 무량수전, 조사당, 소조 여래 좌상, 조사당 벽화, 고려 각판, 원융국사비 등이 있다. 특히 무량수전은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목조 건물 중 하나이며, 조사당 벽화는 목조건물에 그려진 벽화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현재 유물관 안에 보관되어 있다. 무량수전 안에 봉안된 여래 좌상은 국내에 전래하는 최고의 소상(塑像)이다. 무량수전 서쪽에 있는 우물은 의상대사의 호법룡(護法龍)이 살았다는 우물이라 전한다.






13:00

중식제공 (간고등어 정식+제육볶음)

13:50

소수서원 & 선비촌 이동

14:10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 한국의 서원! 소수서원&선비촌 관람


 - 2019년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조선시대 교육기관 서원

 -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으로 1543년에 완공 됨.

 - 조선 최초의 사액서원 사적 제 55호로 지정




소수서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백두대간의 정기를 머금은 소백산자락 영귀봉(靈龜峰)아래 위치한 소수서원(紹修書院)은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서원으로 주세붕(周世鵬)이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창건한 데서 비롯되었다. 평소 고려말 유현(儒賢)인 안향(安珦)을 흠모하던 주세붕이 풍기 군수로 부임한 이듬해인 1542년(중종 37), 안향선생의 고향에 사묘를 세워 선생의 위패를 봉안하고 다음 해 1543년에는 학사를 건립하여 사원(祠院)의 체제를 갖춘 것이 백운동서원의 시초이다.






15:40

무섬마을 이동

16:20

옛 고택과 백사장이 아름다운 무섬마을 관람


영주 무섬마을

무섬마을은 물 위에 떠 있는 섬을 뜻하는 [물수리]의 우리말 이름을 가진 전통마을이다. 때로는 중국 섬계 지역의 지형과 비슷하다 하여 [섬계마을]이라고도 불린다. 40여 가구의 전통가옥이 마을을 이루고 있는데 이 중 30여 채가 조선 후기 사대부가 가옥이며, 역사가 100여 년이 넘는 가옥도 16채나 남아있어 조상들의 자취를 그대로 느낄 수 있다. 그리고 30여 년 전까지 마을과 외부를 이어주는 유일한 통로였던 외나무다리가 마을의 대표 상징물이다.

무섬마을에는 무섬외나무다리 축제, 무섬 문화재 등의 축제와 행사가 있고, 전통한옥체험과 무섬 문화촌 전통문화체험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전통한옥체험에서는 김욱 가옥, 김천한 가옥, 김태길 가옥 등을 체험해 볼 수 있는데 감상뿐만 아니라 직접 숙박체험을 하며 한옥의 정취를 느낄 수 있다. 또한 무섬 문화촌에서는 도자기, 염색체험, 사군자 체험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17:40

영주 석식지 이동

18:00

석식제공 (전국 최고의 맛 영주 한우)


* 1인 200g 최고급 영주한우 제공

18:52

영주역 출발


[토요일~일요일 출발 - KTX이음 782열차]


- 19:17 영주역 출발 → 20:56 청량리역 도착

21:10

청량리역도착 

*서울역 하차 불가

여행 예약시 유의사항